미세먼지 없는 날이 더 드문 요즘, 답답함과 짜증은 일상이 됐다. 하지만 이대로 미세먼지에 적응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분명하다. 이는 지구가 병들었고 곧 인간도 같은 운명에 처하리라는 엄중한 경고이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생활 속에서 #미세먼지 OUT을 실천해 보자. 글. 서지연
참고 자료. ‘굿바이! 미세먼지(남준희, 김민재 지음, 한티재)’, ‘오늘도 미세먼지 나쁨(김동환 지음, Humanist)’
청정한
공기를
꿈꾸다
#미세먼지OUT
아침이 되면 사람들은 창문 대신 앱을 열어 오늘의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한다. ‘좋음’이나 ‘보통’이 뜨는 날은 매우 드물고 ‘나쁨’ 정도만 되도 감지덕지다. 외출을 자제하라는 ‘최악’이 뜨는 날은 한숨부터 나온다. 이처럼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먼지에 좌우되는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쉽게 말해 그 기준은 먼지의 크기다. 지름 10마이크로미터(PM10) 이하를 미세먼지, 2.5마이크로미터(PM2.5) 이하를 초미세먼지로 부른다. 1밀리밀터가 1,000마이크로미터이니 얼마나 작은 크기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10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먼지는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알려지면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큰 먼지는 코와 목에서 걸러지지만 작은 먼지는 그렇지 않기 때문. 그리고 안타깝게도 이보다 작은 극미세먼지(PM0.1)와 나노먼지(PM0.05)까지 존재한다. 더 이상 먼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끊임없이 미세먼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문제는 그렇게 만들어진 미세먼지가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사실이다.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 면역계 질환 등의 주요 원인이고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1군 발암물질이기도 하다. 이는 산업과 밀접한 영향이 있는 만큼 무엇보다 정부의 규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개인은 미세먼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참고 ‘오늘 미세먼지 나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