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왼쪽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기기안내

복사 | 메일보내기 | PDF다운 | SNS

기기특징

축냉시스템은 주간 냉방에 사용하는 냉열을 야간에 만들어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그것을 낮에 이용함으로써, 냉동기의 용량이 작아지고 냉동기를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부하 증가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빙축시스템은 0℃에서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할 때 발생되는 잠열 (80kcal/kg)을 저장함으로 저장탱크의 체적이 작아 도심지 빌딩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축냉식 시스템 원리

       
축냉식 시스템 원리 이미지
축냉시스템은 냉열을 생산하는 냉동기와, 냉열을 저장하는 축냉조, 그리고 냉열을 사용하는 공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야시간에는 냉동기를 가동하여 축냉조에 냉열을 저장하고, 주간에는 냉동기를 정지하고 축냉조의 냉열을 공조기나 팬코일에 순환시켜 냉방에 이용합니다. 또한 축냉조의 냉열만으로 냉방이 부족할 때에는 냉동기도 함께 가동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축냉식 시스템 구성도

       
축냉식 시스템 구성도 이미지

축냉시스템의 종류

빙축열식

관외착빙형(Ice on coil)

관외착빙형(Ice on coil) 비주얼이미지

축열조내에 코일을 설치하고 물을 채운 뒤 코일내부로 저온의 브라인 또는 냉매를 순환시켜 코일주변에 제빙하는 방식

캡슐형(Ice Ball)

캡슐형(Ice Ball) 비주얼이미지

축열조내에 캡슐(ICE BALL or ICE LENS)을 채우고 캡슐의 주위로 저온의 브라인을 흐르게 하여 캡슐내부의 물을 제빙하는 방식

슬러리형(Slurry Ice)

슬러리형(Slurry Ice) 비주얼이미지

특수 제빙기를 통하여 얼음을 유동성 있게 반고체 형태로 제빙하여 배관을 통하여 축열조에 저장하는 방식

수축열식

  • 수축열 냉방시스템

           
    수축열 냉방시스템 비주얼이미지

    축열조 내에 5℃이하 냉수를 저장, 냉수를 순환시켜 냉방하며 축열조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은 단점이나 고효율 운전과 냉난방 겸용이 가능

  • 히트펌프시스템

           
    슬러리형(Slurry Ice) 비주얼이미지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발생(열을 흡수)하는 냉열을 이용한 냉방 또는 응축기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을 이용한 난방용 냉난방 겸용시스템

설치사례

서대문구립 도서관(지열원 히트펌프)

서대문구립 도서관(지열원 히트펌프) 비주얼이미지
  • 소재지 : 서울시 서대문구
  • 건축면적 : 2,864 ㎡
  • 준공일자 : 2005년 5월
  • 냉동기용량 : 30USRT×2대

KBS 부산방송국(관외착빙형)

KBS 부산방송국(관외착빙형) 비주얼이미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 건축면적 : 29,755 ㎡
  • 준공일자 : 2003년 12월
  • 냉동기용량 : 360USRT×2대

용산민자역사(캡슐형)

용산민자역사(캡슐형) 비주얼이미지
  • 소재지 : 서울시 용산구
  • 건축면적 : 272,154 ㎡
  • 준공일자 : 2003년 11월
  • 냉동기용량 : 1,100USRT×3대

한국국제전시장 KINTEX(슬러리형)

한국국제전시장 KINTEX(슬러리형) 비주얼이미지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 건축면적 : 53,541 ㎡
  • 준공일자 : 2005년 3월
  • 냉동기용량 : 420USRT×2대